-
침 삼키기도 힘든 고통! 급성편도염 및 편도선 관련 증상 및 예방질병과 영양관리 2024. 5. 22. 14:30반응형
편도염이란?
편도염이란 우리가 숨 쉬는 코와 입으로 숨 쉬는 목젖 양쪽에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는 부분을 편도라고 하는데 이 편도 및 편도 주위에 염증이 생겨서 발생하는 감염 질환입니다. 이처럼 호흡기로 들어오는 입구인 편도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병균을 방어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편도 관련 증상
급성 편도염
급성 편도염은 흔히 목감기로 착각하는 질환으로 턱 밑으로 목 양쪽이 부으면서 만지면 통증이 느껴집니다. 급성 편도염은 환절기에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편도에 세균이나 바이러스의 비말감염으로 전파됩니다. 인플루엔자 바이러스,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, 콕사키바이러스 등 바이러스도 편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대표 증상
고열: 38도 이상의 고열이 동반됩니다.
인후통: 편도 주변이 붉게 부어오르고 삼킬 때 통증이 심합니다.
삼킴 곤란: 편도 주변 부종으로 인해 삼키기 어려워집니다.
두통, 근육통, 전신 쇠약감: 전신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.
편도 표면의 화농성 삼출물: 편도 표면에 하얀 농성 삼출물이 관찰됩니다.만성 편도염
만성 편도염은 급성 편도염 증상이 1년에 5번 이상 반복되는 상태이며 급성 증상은 없더라도, 지속적인 편도의 염증으로 불편한 경우입니다. 만성 편도염의 경우 보통은 항생제 치료 및 예방법을 통해 좋아지는 경우도 있지만 최근 2년간 반복적으로 편도염이 발생하는 경우 편도 절제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.
대표증상
지속적인 인후통: 편도 주변이 붉게 부어오르고 지속적인 통증이 있습니다.
연하곤란: 편도 주변 부종으로 인해 삼키기 어려워집니다.
구취: 편도 주변의 만성 감염으로 인해 구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두통, 피로감: 전신 증상도 동반될 수 있습니다.아데노이드 비대증
아데노이드는 코와 목 사이에 위치한 림프조직으로, 면역 기능을 합니다. 하지만 아데노이드가 과도하게 커지면 코와 목의 기도를 막아 호흡 및 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. 이를 아데노이드 비대증이라고 합니다. 가장 큰 요인으로 반복적 급성 세균 감염 및 비강이나 부비동의 만성 염증에 의해서 아데노이드 비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.
대표증상
코막힘: 아데노이드가 비대해져 코 기도가 좁아집니다.
코골이와 수면 무호흡: 아데노이드 비대로 인해 기도가 막혀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구토와 삼킴 곤란: 아데노이드가 목 뒤쪽으로 자라나 연하 곤란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중이염: 아데노이드 비대로 인해 중이강으로 세균이 침투하여 중이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편도염 예방 및 치료방법
급성 편도염 예방법
- 소금물 가글: 만성적인 편도선염이 있다면 소금물로 양치질 후 목 가글을 하면 급성 편도염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.
- 충분한 휴식: 편도염 증상이 있을 때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이를 통해 면역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.
- 수분 섭취: 편도염 환자는 목이 아프고 삼키기 어려워 탈수될 수 있으므로, 충분한 수분 섭취가 필요합니다.
- 부드러운 음식 섭취: 편도염 증상으로 인해 단단한 음식 섭취가 어려울 수 있으므로, 부드러운 죽이나 수프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.
편도 수술이 필요한 경우
- 재발성 편도염: 적절한 약물 치료에도 불구하고 1년에 6회 이상 또는 최근 2년간 1년에 3회 이상 편도염이 재발한 경우
- 만성 편도염: 지속되는 구취, 인후통, 통증이 있는 경부 림프절 염증 등
- 편도주위농양이 반복되는 경우
- 편도 비대로 인한 심한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
- 편도 비대로 인한 치아 부정교합 또는 안면골 발달 장애
- 일측성 편도 비대가 있는 경우 악성 종양 감별을 위해
- 편도염에 의해 전신적 문제(열성 경련 등)가 동반되는 경우
일상생활을 힘들게 하는 편도염은 평소에 면역력 관리만 잘해주시고 수분 섭취를 해주시는 게 중요합니다. 만약 편도염이 재발이 잦고 편도 비대로 인해 불편함이 있다면 이비인후과 전문의와 상담 후 편도 수술을 고민해봐야 합니다.
반응형'질병과 영양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덥고 습한 여름철 식중독 증상 및 예방 3대 원칙 및 예방수칙 (0) 2024.05.24 카페인 부작용 및 하루 권장량, 카페인 없는 차 (0) 2024.05.23 오른쪽 아랫배 통증이 있다면 맹장염? 초기 증상 및 수술 (0) 2024.05.21 파고드는 발톱이 무좀? 원인과 치료 방법은? (0) 2024.05.20 극심한 통증이 있는 생리통 원인과 생리통 완화 음식 (0) 2024.05.17